[부스트코스- 구글 마케팅] 2. Google Ads 학습하기
(1) 구글 디스플레이 광고의 타겟팅 기능에 대해 알아봅니다.
(2) 타겟팅 기능 중 콘텐츠 기반의 타겟팅 기능과 원리에 대해 알아봅니다.
(3) 사용자 기반의 타겟팅이 가능한 원리와 이유에 대해 알아봅니다.
[구글 디스플레이 광고 타겟팅 전략]
- 광고 목적(목표)에 따라 콘텐츠 기반/ 사용자 기반 타겟팅 광고 노출
- 키워드 타겟팅
: 키워드를 사용하여 광고 게재 위치를 타겟팅하는 방식
- 게재위치 타겟팅
: 키워드를 사용하여 광고 게재 위치를 타겟팅하는 방식
: 내가 원하는 사이트만 선택하여 타겟팅하는 방식
- 주제 타겟팅= 키워드 + 게재위치 타겟팅
: 게재 지면의 주제에 따라 자동 구성된 사이트를 타겟팅하는 방식
- 광고 목적(목표)에 따라 콘텐츠 기반/ 사용자 기반 타겟팅 광고 노출 : 개인화
- 구글은 사용자 정보를 어떻게 알고 있는 것일까?
: 로그인 방식 실데이터 + 비로그인(쿠키) 방식 확률 데이터
- 로그인 방식 실데이터 사용
-> 디스플레이 네트워크, 유튜브, 구글 검색 이력
- 비로그인(쿠키) 방식 확률 데이터
-> 디스플레이 네트워크, 유튜브 등 인터넷 소비(시청) 콘텐츠 분석
(1) 사용자 기반의 타겟팅 종류와 특징에 대해 알아봅니다.
(2) 각 타겟팅 기능을 활용하여 의도한 잠재고객에게 정확히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.
[사용자 기반 타겟팅 종류]
- 인구통계 타겟팅
: 연령, 성별, 자녀 유무, 가구 소득을 기준으로 타겟팅하는 방식
- 관심분야 타겟팅
: 지면이 아닌 특정 주제에 관심을 갖고 있는 유저를 타겟팅하는 방식
- 맞춤 관심분야 잠재고객 타겟팅
: 구글이 보유한 유저 정보과 광고 지면 데이터를 커스텀 타겟팅으로 사용
- 맞춤 의도 잠재고객 타겟팅
: 키워드를 기반으로 타겟으로 하는 잠재고객을 확보하고 타겟팅하는 방식
- 구매의도 잠재고객 타겟팅
: 특정 분야에 구매의도가 매우 높은 유저를 타겟팅하는 방식
- 경조사 타겟팅
: 해당 콘텐츠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높은 유저를 타겟팅하는 방식
- 위치 타겟팅
: 유저의 물리적 위치와 관심사를 기반으로 타겟팅하는 방식
: 현재 있는 위치와 관심가는 위치를 구분!
- 언어 타겟팅
: 유저의 인터넷 콘텐츠 소비 언어와 구글 서비스 언어 환경 등 기준 타겟팅
- 기기 타겟팅
: 원하는 디바이스 사용자만을 선택하여 타겟팅하는 방식
(1) 모바일 타겟팅: 운영체재
(2) 모바일 타겟팅- 기기
(3) 모바일 타겟팅- 네트워크
- 제외 타겟팅
: 광고 노출을 제한하고 싶은 타겟 그룹은 자유롭게 제외 타겟팅하는 방식
(특정 연령이나, 특정 주제, 특정 지면 등등 제외시킬 수 있음)